기업인증

기업 경쟁력의 시작. 

기업인증 이은이 함께 해드리겠습니다.

기업인증

인증 이야기

벤처인증벤처인증 꼭 필요한가?

관리자
조회수 115

사업장을 운영하는 대표님들은 한번쯤 들어 본 벤처인증. 꼭 필요할까요?

당장 기술보증기금에 대출을 받으러 가도 먼저 물어보는 "특허 있으신가요?" " 벤처인증 있으신가요?"😅

특허는 알겠는데 벤처는 무엇인가?

종종 어떤 대표님들은 벤처인증 하면 뭔가 구글이나 페이스북과 같은 정보 통신 분야의 기업이 많아서 IT업체를 벤처기업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업종에 상관없이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즉, 벤처인증을 확보하면 특허처럼 기술력을 인정받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부는 벤처기업이 일반 기업에 비해 기술성이나 성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보고 중점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는것입니다.

이미 성장한 기업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성장할수 있는 기업을 집중해서 지원하겠다는 것이지요.


때문에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 기 위해서는 투자가 필요하고, 자금의 유동성도 필요하기때문에.

벤처기업인증 확보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인 것입니다.


벤처인증을 받기위해서는 벤처확인종합관리시스템(www.venturein.or.kr)에서 신청하면 됩니다.


벤처기업인증을 준비하거나 인증받는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고객지원 메뉴에서 가이드북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가이드북 다운받으러 가기

기본적으로 벤처인증을 받으려면 요건이 갖춰야 하고 사업계획서를 작성해서 우리 기업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어야 하는데요.. 


기본적으로 체크해야 할 사항이 몇가지 있습니다.

01) 대표자의 경력이 중요합니다. 관련된 동종업 경력이 필요하며, 실무도 필요합니다. 사업에 대해서 전문가라는 것을 어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죠.. 

02) 팀원(직원수)의 구성도 중요합니다. 구체적으로 직원의 수를 정해 놓지는 않았지만 조직이 있어야 유리합니다. 물론 대표자 1인의 기업도 벤처인증을 받기도 하지만 쉽지는 않습니다. 최소한의 조직을 구성한 후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03) 영위하는 업종과 관련된 객관적인 기술 근거가 필요합니다. 개발실적 이나 기술경쟁력의 부분인데 가장 일반적인것이 [특허]입니다.

특허는 벤처인증을 받기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사업을 하는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되도록 어떻게든 특허를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04) 기술개발환경인 기업부설연구소 확보. 지속적인 개발을 위한 준비가 되어있다고 보여줄 수 있는 기업부설연구소(전담부서)를 준비한 후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의 최소한의 요건들을 기본적으로 갖추고 사업계획서를 작성해서 제출하면 현장심사를 받은 후 벤처기업 확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벤처기업확인 신청을 하면 접수일기준 약30일~40일의 기간이 소요,

소요되는 비용은 일반적으로 35만원~55만원의 비용이 소요됩니다.


가끔 벤처기업확인은 창업3년이내의 기업만 받을 수 있다고 알고 계시는 사람들도 많은데..가장 큰 혜택이 3년이내의 창업기업에게 있다는 것이지 창업 기업만 받을 수 있다는 것은 아닙니다. 업력이 오래 되어도 받을 수 있으니 벤처기업이 필요한 기업은 언제든 준비해서 받으시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벤처기업확인제도 가이드북을 자세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0 0